로버트 배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배로는 1944년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나 경제학으로 전향하여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브라운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로체스터 대학교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전미 경제 연구소 연구원,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등을 역임했다. 배로는 리카도 대등정리, 합리적 기대와 통화 정책, 인플레이션 목표제, 내생적 성장 이론 등 거시경제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정부 지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주요 저서로는 《거시경제학》, 《경제 성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주의 경제학자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 뉴욕주의 경제학자 - 앨런 그린스펀
앨런 그린스펀은 1987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공공 인물로서, 경제 컨설팅 회사 설립 및 경제 자문관 활동 경력이 있으며, 장기간 연준 의장 재직 후 2008년 금융 위기 책임론과 경제 정책 논쟁, 그리고 객관주의 철학 영향과 저서 집필, 다수의 수상 경력과 고문 활동을 했다. - 거시경제학자 - 토머스 사전트
토머스 사전트는 합리적 기대 혁명의 주요 인물로서 정책 무효성 명제를 제안하고 합리적 기대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크리스토퍼 심스와 함께 거시경제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201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거시경제학자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자유 시장과 법치주의를 옹호하며 197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로버트 배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로버트 조지프 배로 |
원어 이름 | Robert Joseph Barro |
출생일 | 1944년 9월 28일 |
출생지 | 뉴욕주뉴욕 |
로마자 표기 | Lobeoteu Baelo |
학력 | |
학사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B.S.) |
박사 | 하버드 대학교(Ph.D. 1970) |
모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경력 | |
주요 경력 | 하버드 대학교 1987- 후버 연구소 1995- 전미 경제 연구소(NBER) 1978- 로체스터 대학교 1975-82, 1984-87 시카고 대학교 1972-75, 1982-84 |
직업 | 경제학자 교수 |
연구 분야 | |
분야 | 거시경제학 |
학문적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데이비드 리카도 로버트 루카스 츠비 그릴리케스 |
영향을 준 인물 | 츠비 헤르코비츠 자비에 살라-이-마틴 알베르토 알레시나 |
주요 기여 | |
기여 | 리카도의 등가 정리 경제 성장 동학 적성 합성 |
수상 | |
수상 내역 | 해당 사항 없음 |
개인 정보 | |
배우자 | 레이첼 맥클리어리 |
가족 관계 | 해당 사항 없음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해당 사항 없음 |
RePEc 식별자 | f.pba251 |
박사 지도교수 | 츠비 그릴리케스 |
주요 박사 제자 | 츠비 헤르코비츠 자비에 살라-이-마틴 자비에 가바이 조지-마리오스 안젤레토스 에미 나카무라 마이클 크레머 |
2. 학력 및 경력
연도 | 내용 |
---|---|
1944년 | 뉴욕 출생 |
1965년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물리학 학사 (리처드 파인만의 제자)[4] |
1970년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5] |
1968년 - 1972년 | 브라운 대학교 조교수 |
1972년 - 1973년 | 브라운 대학교 부교수 |
1973년 - 1975년 | 시카고 대학교 부교수 |
1975년 - 1978년 | 로체스터 대학교 교수 |
1978년 - 1982년 | 로체스터 대학교 존 먼로 경제학 교수 |
1982년 - 1984년 | 시카고 대학교 교수 |
1984년 - 1987년 | 로체스터 대학교 예술 과학 석좌 교수 겸 경영 대학원 재무 교수 |
1987년 - 1995년 | 하버드 대학교 교수 |
1995년 - 2004년 | 하버드 대학교 로버트 C. 와고너 교수 |
2004년 | 하버드 대학교 폴 M. 워버그 경제학 교수 |
1977년, 1989년, 1993년 | 후버 연구소 펠로우 |
1978년 | 전미 경제 연구소(NBER) 연구원[5] |
1980년 | 계량 경제 학회 회원[12] |
1988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13] |
1998년 | 미국 경제 학회 부회장[5] |
배로는 1965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리처드 파인만의 제자였지만, "그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힘들다"고 깨달아 경제학으로 전향하여 197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4][5]
3. 주요 연구 업적
배로의 주요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연도 주요 연구 내용 1974 국채가 영향력을 갖지 않는다는 리카도 대등정리 확장. 앨런 블라인더와 로버트 솔로의 소득 효과 주장에 대한 반박.[4] 1976 정보 불완전성 하에서 화폐가 실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임. 금융 정책 변경이 아닌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임을 강조. 로버트 루카스와 유사한 문제 연구.[9] 1983 중앙은행의 역할에 정보 비대칭 적용,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인플레이션 목표제 설정과 실업 문제에 대한 대응 자제 주장.[10] 1990년대 내생적 성장 이론 주창, 혁신과 경제 성장의 관계 중시.[11]
배로는 허셜 그로스먼과 1971년 "소득과 고용의 일반적인 불균형 모형"을 발표, ''미국 경제 리뷰'' 최다 인용 논문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6][7] 이들은 1976년 ''돈, 고용, 인플레이션''을 출판했다.[8] 1984년 ''거시경제학'' 교과서는 여전히 표준으로 남아 있으며, 사비에르 살라-이-마르틴과 함께 1995년에 쓴 ''경제 성장''은 대학원 수준의 교과서이다.
게리 베커와 공동 저술한 1988년 논문 "출산에 대한 경제 이론의 재정립"은 ''분기별 경제 저널''에 게재, "무한 시간 지평" 모델링에 영향을 주었다. 이후 배로는 아내 레이첼 맥클리어리와 종교, 대중 문화가 정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배로는 케인즈 승수가 1보다 작다고 보았다. 정부 지출이 다른 곳의 지출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했다.[14] 그의 연구는 경기 순환 이론, 성장 이론, 신고전적 종합, 공공 정책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프란시스코 마로퀸 대학교 명예 학위를 받았으며,[15] RePEc는 2016년 3월 그를 세계 5위 경제학자로 평가했다.[16] 배로는 경기 부양 지출에 반대, 오바마 법안을 비판했다.[17][18][19] 공공선택론과 정치경제학을 연구, 최근에는 종교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3. 1. 리카도 대등정리 (1974)
배로는 1974년 "정부 채권은 순자산인가?"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널리 알려졌다. 이 논문에서 그는 특정한 가정 하에서, 정부가 채권을 발행하여 재정 지출을 늘리는 것은 미래 세대가 이 채권을 상환하기 위해 더 많은 세금을 낼 것이라는 기대를 낳게 된다고 주장했다. 결국 가계는 미래의 세금 증가에 대비하여 저축을 늘리고 소비를 줄이게 되므로 현재의 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4]
이는 앨런 블라인더와 로버트 솔로우가 정부 차입의 장기적 영향이 부의 효과에 의해 상쇄될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이었다.[4] 이 논문은 거시경제학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논문 중 하나이며, 배로가 제시한 리카도 대등정리의 영향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4]
3. 2. 합리적 기대와 통화 정책 (1976)
배로는 1976년에 "합리적 기대와 통화 정책의 역할"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정보 비대칭이 불확실성에 대한 합리적인 경제 행위자들의 반응으로 실질적인 효과를 야기하지만, 예상된 통화 정책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9] 배로는 이 논문과 다른 에세이에서 통화 변화의 실제 효과를 조사하여 정책 무력성 명제의 유효성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명확히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9]
이 논문은 합리적인 개인을 가정하더라도 정보의 불완전성이 존재할 경우 화폐가 실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금융 정책 변경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처럼 신고전학파의 틀 내에서도 화폐의 역할을 고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루카스 역시 이와 유사한 문제를 다루었다.[9]
3. 3. 중앙은행의 역할과 인플레이션 목표제 (1983)
1983년, 배로는 정보 비대칭 주장을 중앙은행의 역할에 적용하여,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는 실업률을 줄이기 위해 위반할 수 없는 인플레이션 목표에 묶여 있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10] 이는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실업률을 높이는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주장은 인플레이션 목표제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으며, 대한민국의 한국은행이 운영하는 물가안정목표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4. 내생적 성장 이론 (1990년대)
배로는 1990년대에 주로 경제 성장의 이론적, 경험적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혁신과 공공 투자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내생적 성장 이론에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11] 현대 시대의 성장에 관련된 주요 요인들에 대한 계량 경제학적 분석의 선구자이기도 하다.[11]
내생적 성장 이론은 혁신, 공공 투자, 인적 자본 축적 등이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임을 강조한다. 이는 국가 간 경제 성장률 격차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며,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 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지식 기반 경제로의 전환과 혁신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4. 기타 주장
배로는 케인즈 승수가 1보다 작다고 보았다. 그는 정부가 돈을 빌려 지출할 때마다 경제 다른 부분의 지출이 거의 같은 양만큼 감소한다고 주장했다.[14]
배로는 경기 부양 지출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오바마 정부의 경기 부양 법안을 "쓰레기"이자 "1930년대 이후 최악의 법안"이라고 비판했다.[17][18][19]
4. 1. 외모와 소득 격차 (일본어판 내용)
소득 격차를 시정하기 위해, 기회 균등의 관점에서 "미남미녀세", "못생김 보조금"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21]5.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Robert Barro
https://www.inetecon[...]
[2]
서적
Productivity growth, inflation, and unemployment: The collected essays of Robert J. Gor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Institute for New Economic Thinking
https://www.inetecon[...]
[4]
웹사이트
Topping the Charts: Prakash Loungani profiles Harvard macroeconomist Robert Barro
http://www.imf.org/e[...]
Imf.org
2007-09-01
[5]
웹사이트
Robert J. Barro
https://scholar.harv[...]
2024-12-13
[6]
간행물
A General Disequilibrium Model of Income and Employment
[7]
문서
Spolaore (2008).
[8]
문서
Kolmar, 803.
[9]
서적
The Theory of New Classical Macroeconomics. A Positive Critique
Springer
[10]
뉴스
Reagan vs. Clinton: Who's the Economic Champ?
http://www.businessw[...]
1999-02-22
[11]
Youtube
Interview with Robert J. Barro
http://www.newmedia.[...]
[12]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5-17
[13]
웹사이트
Current Fellows
http://www.econometr[...]
2024-02-08
[14]
뉴스
The Demand Doctor
2011-10-10
[15]
웹사이트
Doctorado Honorífico a Robert J. Barro durante el Acto de Graduación (2007)
http://www.newmedia.[...]
[16]
웹사이트
Economist Rankings at IDEAS
https://ideas.repec.[...]
[17]
뉴스
"The Stimulus Evidence One Year On" Economist Robert Barro, Harvard University, WSJ
https://www.wsj.com/[...]
2010-02-23
[18]
뉴스
"Stimulus Spending Doesn't Work" Economist Robert Barro, Harvard University, WSJ
https://www.wsj.com/[...]
2009-10-01
[19]
뉴스
Paul Samuelson Vs. Milton Friedman
https://www.forbes.c[...]
2009-02-19
[20]
문서
http://ideas.repec.o[...]
[21]
문서
大竹文雄 『経済学的思考のセンス-お金がない人を助けるには』 中央公論新社〈中公新書〉、2005年、18頁。
[22]
문서
Economist Rankings at IDEAS
http://ideas.repec.o[...]
[23]
서적
Productivity growth, inflation, and unemployment: The collected essays of Robert J. Gor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Youtube
Topping the Charts: Prakash Loungani profiles Harvard macroeconomist Robert Barro
http://www.imf.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